반응형

내 몸의 면역력은 몇 점?

코로나로 인해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나이가 많을 수록 면역력이 저하되어 외부의 바이러스에 약하고 몸에 이상 현상이 나타 날 수있다.

면역력 저하시 내몸에 나타나는 증상과 면역력을 높일 수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황경이 나빠지고 치료제가 없는 바이러스가 발생하는 상황을 맞으며 스스로 건강을 지켜낼 수 있는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있다.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부터 면역력 향상에 좋은 음식과 운동법까지 다양한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꼭 챙겨야 할 알짜 정보만을 모아보았다.





우리 몸에서 면역체계가 하는 일

인간은 이미 만들어진 특정한 방어기전을 일정 부분 갖고 태어나지만, 대부분의 면역체계는 병원체에 노출된후에 후천적으로 생긴다.

면역체계(Immune System)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같은 미생물, 기타이물질에 감염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손상된 조직을 복

구하는 역할을 하는데 자신(Self)과 남(Non-Self)을 구분하는 능력이 있다.

그래서 자신에 대해서는 면역반응(Immune Response)이 유도되지 않지만 남에 대해서는 면역반응이 유도된다.

즉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외부 병원균이 우리 몸 안으로 침투하면 면역시스템은 이를 감지하여 세균을 직접 죽이거나 세균에 감염된

세포를 죽이게 된다.


면역력 저하의 대표적 증상

면역력이 떨어지면 질병에 자주 걸리게 되며 치료를 해도 잘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면역 작용에 의해 억제되어 있던 비활동성 간염, 잠복 결핵,대상포진 같은 질환들이 면역력이 떨어지면 활동성으로 진행해 잠재되어 있던 병이 나타나기도 한다.

면역력 저하로 나타나는 대표적 증상은 각종 피부질환이다.

그중 대표적인 바이러스성 피부질환이 ‘대상포진’과 ‘사마귀’다.

또한 입술포진, 구내염, 감기, 장염 같은 감염성 질환에도 취약하다. 배탈도 종종 겪는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위장관으로 들어온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이 떨어진다. 또 장내 유해균이 많아지면서 내부 염증이 생길 수 있다.


면역력을 올리는 다양한 방법들

면역력 강화를 위한 방법은 어떻게 보면 내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원인을 제거해주는 것이 방법이다.

우선 식습관은 무조건 개선해야 한다.

과체중이나 비만은 면역력을 떨어뜨려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쉽게 만든다.

과식도 우리 몸을 공격하는 유해 활성산소의 생성과 접촉을 증가시켜 위험에 빠뜨린다.

그렇다고 식사를 거르는 것은 좋지 않다.


식사는 거르지 않되 가능한 한 적게 먹고, 식단은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 식품으로구성해야 한다.

콩 제품과 생선을 많이 먹고, 흰쌀밥,밀가루, 설탕, 소금은 줄여야 하며, 패스트푸드나 식품첨가물이 들어있는 인스턴트 식품, 향신료는 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만으로 면역계 질병이 치료되는 것은 아니지만 질적으로 나쁜 음식을 먹으면 우리 몸은 서서히 질병에 걸리기 쉬운 상태가 되고 노화도 빨리 진

행된다. 영향 불균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건강보조식품을 챙겨 먹는 것도 좋으며 내 몸에 충분한 수면과 운동 등으로 노화를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


면역력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네: 2점, 잘 모름: 1점, 아니오: 0점)


□자주 쉽게 피로해진다.

□아침에 일어날 때 몸이 천근만근이다.

□많이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고 더 피곤한 것 같다.

□대체로 몸이 나른하고 권태롭다.

□감기에 잘 걸리고 쉽게 낫지 않는 편이다.

□입안이 쉽게 헐고 입술이 자주 튼다.

□눈에 염증이 자주 생기는 편이다.

□상처나 흉터가 생기면 쉽게 아물지 않는다.

□무좀이 있거나 치료해도 잘 재발한다.

□배탈, 설사가 잘 나는 편이다.

□인내력과 끈기가 떨어지는 편이다.

□운동이나 일을 할 때 체력이 부족함을 자주 느낀다.

□담배를 많이 피운다.

□술을 자주 마신다.

□규칙적으로 하는 운동이 없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다.

□쉽게 우울해지고 기분 전환도 잘 되지 않는다.

□식사, 취침 시간 등 생활 패턴이 불규칙하다.

□인스턴트 음식을 즐기고 영양 균형에 별로 관심이 없다.

□가족이나 친척 중 생활 습관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많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