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위생관념이 높아지면서 기생충 감염은 줄었지만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늘면서 동물의 기생충에 감염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위생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을 여행하며 기생충에 감염돼 오는 사례가 있다.
기생충 감염의 가장 흔한 경로는 생선회, 가축의 간, 채소 등 생식을 통한 음식물이다.
기생충 감염 시 증상이나 합병증은 기생충 종류, 감염 정도, 기생 부위, 환자 건강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지만 상당수가 별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소화기 이상 증상에 그친다.
간혹 발열, 오한, 근육통, 빈혈, 무기력증 등의 전신 증상이나 여러 신경 증상이 나타난다.
기생충 감염 합병증은 회충, 편충 등 장내에 사는 기생충은 복통, 설사, 식욕부진 같은 위장관 장애를 일으킨다.
개나 고양이 회충에 감염되면 간에 염증이나 고름집이 생겨 간기능 이상을 보이거나 염증이 다른 장기에 침입하기도 한다.
결핵과 흡사한 ‘폐흡충’은 기흉,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을 일으키고 간흡충은 담석, 담관폐쇄 등의 합병증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기생충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는 게 좋다.
또한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알벤다졸’, ‘플루벤다졸’ 성분 구충제를 구매·복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구충제를 원래 용법과 용량대로 복용하면 부작용이 적지만, 장기간 복용할 경우 두통이나 간기능 장애, 혈액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날 것을 자주 먹거나, 기생충 감염이 높은 지역에 사는 경우 1년에 1~2번 구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구충제를 정기적으로 복용하면 회충, 요충, 십이지장충 등 상당수 기생충을 제거할 수 있다.
40.50대 소변 참기 힘들고 자주 본다면 (0) | 2023.03.18 |
---|---|
쥐젖 (피부 연성 섬유종) 생기는 원인과 치료 방법 (0) | 2023.03.12 |
시야가 뿌옇게 보이면 의심되는 질환 백내장 증상과 치료방법 (0) | 2022.09.23 |
허리, 다리 찌릿 허리디스크 개선 치료방법 (0) | 2022.07.05 |
어지럼증·편마비 등 전조증상시 뇌경색 의심 (0) | 2022.07.04 |